더 큰 함대, 더 빠른 혁신을 요구하는 미 해군 > e-저널 2017년

 

▶e-저널 2017년 목록

e-저널 2017년

제24호(06월) | 더 큰 함대, 더 빠른 혁신을 요구하는 미 해군

페이지 정보

Written by 정호섭(前 해군참모총장, 現 충남대 군사학부 석좌교수) 작성일19-04-09 11:05 조회722회 댓글0건

본문

더 큰 함대, 더 빠른 혁신을 요구하는 미 해군


정호섭 (前 해군참모총장, 현 충남대 군사학부 석좌교수)


1. 들어가면서

 

최근 2017년 5월 17일 리차드슨(John M. Richardson) 미 해군참모총장은 ‘미래해군(The Future Navy)’이라는 제목의 백서를 발표하였다. 백서에서 그는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세계전략 상황 속에서 미 해군의 신속한 전력증강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여기에는 무엇보다도 급부상하고 있는 중국해군으로 인해 이제까지 누려왔던 미 해군의 우세가 매우 빠른 속도로 쇠퇴하고 있다는 미 해군 지휘부의 위기감이 자리 잡고 있다. 이는 미 해군이 세계 그 어느 타(他) 해군보다도 상당한 기술적 우세에 있다며 자신만만해오던 이제까지의 태도와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그렇다면 백서의 주요내용은 무엇이며, 미 해군이 시급한 전력증강의 필요성을 긴박하게 주장하고 있는 그 배경은 무엇일까 ?


2. 더 큰 함대, 더 빠른 혁신 요구하는 미 해군

 

먼저 ‘미래해군(The Future Navy)’이라는 제목의 백서 요지는 다음과 같다 (Chief Of Naval Operations’ White Paper, ‘The Future Navy,’ Adm. John Richardson. May 17, 2017. https://news.usni.org/2017/05/17/document-chief-of-naval-operations-white-paper- the-future-navy)


"미 해군은 중국, 러시아와 같은 경쟁상대와 다시 해양경쟁의 시대에 진입하고 있으며 이제까지 누려왔던 미 해군의 우세가

매우 빠른 속도로 쇠퇴하고 있으므로 이를 반드시 되돌려야 한다. 미 해군이 상대적 우위의 전투력을 증진하고

경쟁상대들의 전력증강 속도에 최소한 보조를 맞추며 기술적 이점을 되찾고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355척의 함정으로 구성된 강력한 균형함대(a balanced fleet)가 필요하다.

현재 세계 안보환경에서 (해군력의 증강) 속도가 중요한 요소로서 이들 함정을 보다 더욱 빨리 건조하는 것이 시급하며

미 해군은 2040년대가 아닌 2020년대 중반에 목표전력 수준을 달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Future Navy’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백서 전반에 흐르는 전력증강 필요성에 대한 미 해군의 긴박감(a sense of urgency)이다. 리차드슨 총장은 미국의 국방예산 제한(sequestration)으로 인해 냉전종식이래 수십 년 동안 지속되어 왔던 미 해군의 독주시대가 끝나고 미 해군은 중국, 러시아 해군과 다시 해양경쟁의 시대에 진입하고 있으며 이 밖에도 미 해군은 북한, 이란 및 비(非) 국가적 테러단체로부터의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이러한 위협의 복잡성(complexity)과 발전속도(pace)는 ‘더 큰 함대, (종전과)다른 함대(a bigger fleet, a different fleet)’를 향한 더욱 빠른 혁신을 미 해군에 요구하고 있다고 그는 역설하였다. 또한 새로운 경쟁은 속도(pace)가 주도하며 기하급수적인 속도 경쟁에서 승자가 모든 것을 독식(獨食)하는 데 미 해군은 과거의 이점(利點)이 가져다주었던 어떤 형태의 위안(comfort)이나 안일함(complacency)을 떨쳐버리고 임무수행이 가능한 ‘더 크고, 보다 분산된, 보다 능력 있는 전투함대(a larger, more distributed, and more capable battle fleet)’를 건설하는 일을 지금(now), 오늘(today) 당장 시작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미 해군은 점점 무력해 질 것이라고 미 해군참모총장은 경고하였다.
더 나아가 그는 함정의 척수(隻數)뿐만 아니라 미 해군이 새로운 기술과 작전개념을 도입하여 해전의 양상도 변화시켜야 할 시점이므로 혁신을 통한 기하급수적 형태의 성장(exponential types of growth)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즉, 무인체계, 증가된 發電(power-generation) 능력, 레일 건(rail gun), 레이저(laser)와 같은 지향성 에너지무기, 사이버 수단 등 신기술 적용의 중요성과 센서, 무기, 함정, 항공기 간의 네트워크化로 우주, 수상, 공중, 수중, 사이버 및 전자전 공역에서의 상호연결성(interconnectivity)을 강화하면서 미 해군의 전투능력을 기하급수적으로 증진시켜 나가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물론 백서에서 미 해군참모총장은 러시아 해군과 북한, 이란 위협 등도  언급하고 있지만, 그 보다는 아·태지역에서 급신장하고 있는 중국의 힘과 영향력 아래 중국 해군이 빠른 속도로 미 해군의 경쟁상대로 등장하고 있다는 점이 이 백서가 출현하게 된 주(主) 요인이다. 먼저 이에 대해 살펴보자. 


3. 새로운 경쟁상대로서 중국해군의 도전

 

냉전 종식 후 미 해군은 세계유일의 초강대국 해군으로서 바다에서 경쟁상대가 없이 사실상의 제해권을 장악한 가운데 압도적인 힘과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그러나 최근 20여년간 빠르게 신장하고 있는 중국의 힘과 영향력에 의해 미국은 아·태지역에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게 된다. 특히 중국은 거부적 해군력을 집중 증강하면서 미 해군의 해양지배를 빠르게 견제하는 동시에, 동·남중국해에서 보다 공세적이고 적극적인 전략을 추구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중국의 일방적인 행동은 이제까지 아·태 지역안보를 주도해왔던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해양동맹 체제의 해체와 약화를 목표로 하는 중국의 장기 전략적 포석이다.
이에 맞서 2011년 미국 오바마 행정부가 발표한 아·태 再균형 정책은 미국이 同 지역에서 주도적 리더십을 유지하고 그 대신 급신장하는 중국의 힘과 영향력을 견제하고자 재래식 미 군사력의 증강 배치, 주요 동맹국과 파트너 국가들과 긴밀한 관계 설정, 空海전투(Airsea Battle) 개념에 입각한 국제공역에서의 접근과 기동을 위한 전략적 대비 등의 노력을 한층 강화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이었다.
한편, 오바마 행정부의 대중(對中) 군사정책은 중국과의 노골적인 대립보다는 우발사고나 오산(誤算)으로 인한 미·중간의 잠재적 무력충돌 가능성을 줄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이와 동시에 중국으로 하여금 미국, 다른 동맹이나 파트너, 더 나아가 국제사회와 평화 및 안정을 유지하는 노력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도록 유도하는 것이었다. 그 배경에는 미·중간의 경제적 상호의존성을 고려할 때, 양국 間 직접적 무력충돌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고 또 바람직하지도 않다는 미국 정부의 기본인식이 자리 잡고 있었다.
미 해군도 중국해군의 공세적이고 일방적인 행태를 주시하되, 가능한 중국을 적대화하지 않으려는 신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비록 중국의 해군력과 미사일 위주의 거부전력이 급신장하고 있지만, 가까운 미래에 이들이 미 해군의 전력투사(power projection) 능력에 필적할 만한 수준까지 도달하기는 힘들고, 중국이 자국의 행동범위(reach)와 영향력(influence)은 확장하고 있지만 아직 당분간은 지역 내 해역에 대한 통제권(control)은 확립하지 못할 것이라고 미 해군은 판단하고 있었다.
여기에 추가하여 미 해군은 다음과 같은 중국해군의 제한사항을 꿰뚫어 보며 내면적으로는 여전히 대중(對中) 우월감과 자신감 속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 먼저, 중국군은 지난 30년 동안 싸워본 실전경험이 없었다는 점, 중국해군은 타군과의 합동작전 경험이 부족하다는 점, 또한 지역 내 중국의 사활적인 해상교통로가 미 해군의 통제 하에 있어 언제라도 미 해군이 선택하면 봉쇄할 수 있다는 점, 그로 인해 중국해군은 미 해군 함정이나 항공기를 쉽게 공격하지 못할 것이라는 점 등. (Ronald O'Rourke, China Naval Modernization: Implications for U.S. Navy Capabilities—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Report, June 6, 2017, p. 3.) 

그러나 미국의 아·태 再균형 정책은 중국으로 하여금 더욱 공세적이고 일방적인 해양팽창 정책을 추구하도록 하는 촉매요인이 되었다. (Wayne R. Hugar, Surprise! What caused China’s Recent and Massive Land Reclamation in the South China Sea?, Journal of Strategic Intelligence, Summer 2016, p. 26.)
 2012년 중국이 남사군도 내 Scarborough 섬을 무력점령하자, 필리핀은 2013년 1월 ‘남중국해에서의 해양권리 및 중국행동의 합법성’에 관해 헤이그(Hague) 국제상설중재재판소(PCA: Permanent Court of Arbitration)에 제소하였다. 중국은 同 재판이 열리게 되면 그 결과가 자국에 불리할 것이라는 점, 또 그 같은 상황에서 시간은 자기편이 아니라는 인식 하에 2014년부터 남중국해 전역에 대한 영해화 작업, 즉 도서 및 암초 등 7개소에 인공도서를 거의 동시에 건설하고 그곳에 군사기지를 설치하는 대대적인 공사를 개시하였다. 여기에는 ‘더 늦기 전에 일을 저지르고 보자. 시간이 지나면 현상이 기정사실화되고 고착된다.’는 중국의 소망적 사고(wishful thinking)가 자리 잡고 있었다. (정호섭, “지키자 이 바다 생명을 다하여: 안보위해서 중국에 맞서 싸울 수 있다는 각오 보여야”, 『월간조선』, vol. 446 (2017년 5월호), 366쪽.)
 이러한 중국의 해양 영유권 강화 활동은 자국의 방어권(defensive perimeter)을 중국연안으로부터 외해로 확장하여 분쟁 발생 시 잠재적국을 보다 멀리 두고자 하는 반(反)접근/지역거부(A2/AD: Anti-Access/Area Denial) 전략의 일환이다.
한편, 2016년 7월 12일 헤이그 국제상설중재재판소는 만장일치로 필리핀의 승소를 결정하였다. PCA는 남중국해 대부분에 대한 중국의 소유권 주장은 불법이라고 판결했다. 이에 중국은 동(同) 재판소의 판결을 무시할 것이며 남중국해에서의 자국 이익을 수호하기 위해 무력사용도 불사(不辭)할 것이라고 일방적으로 발표했다. 이 후 중국의 인공도서 건설 및 군사화 노력은 더욱 빠른 속도로 진전되고 있으며 새로운 군사시설의 설치가 계속 언론에 보도되고 있다.


4. 전략상황의 심각성 인식
 
이러한 가운데 미 해군은 전략상황의 심각성을 점차 깨닫기 시작한다. 이는 아·태지역 전략상황이 점점 미국에 불리하게 진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렇다 할 대응방안이 사실상 없다는 점에 대한 미 해군의 무력감이다. 미 정부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해상교통로가 지나가는 남중국해에서 몇 년째 진행되고 있는 중국의 일방적이고 불법적인 인공도서 건설 및 군사화를 멈추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사실상 거의 없는 것이다. 중국군은 이미 건설하여 점령하고 있는 인공도서들에서 결코 철수하지 않을 것이며 미국이 이들을 강제로 쫓아낼 수도 없는 상황이다. 유감스럽게도 사실 중국의 이같은 공세적이고 일방적인 행동에 대해 외부저항도 거의 없었고 중국이 치러야 할 비용도 거의 없었다. 중국은 이미 인공도서 건설에 거의 성공하였고 조만간에 남중국해 Spratly(남사), Paracel(서사) 군도 내에 일련의 군사기지를 갖게 될 것이다. 그래서 혹자는 ‘불행하게도 이미 게임은 끝났다(now game over)’고 단언한다. (Center for a New American Security 선임연구원 Mira Rapp-Hooper의 말 인용. Dan De Luce, Keith Johnson, Report, In the South China Sea : the U.S. is Struggling to Halt Beijing’s Advance, Foreign Policy Report, May 25, 2017, http://foreignpolicy.com/2017/ 05/25/in-the-south-china-sea-the-u-s-is-struggling-to-halt-beijings-advance)
 
물론 새로 취임한 트럼프 미 대통령은 대선(大選)기간 중 남중국해에서 중국의 일방적이고 공세적인 행동을 비난하며 강경한 대중(對中) 정책을 추진할 것임을 천명하였다. 신임 Rex Tillerson 미 국무장관도 의회 인준청문회에서 중국의 인공도서 건설은 마치 러시아의 크리미아 탈취와 같은 것으로서 반드시 중단되어야 하고 인공도서에 대한 중국의 접근은 허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명확한 신호를 보낼 것이라고 언급했다. (Helene Cooper, Trump’s Turn Toward China Curtails Navy Patrols in Disputed Zones, New York Times, May, 2, 2017, https://www.nytimes.com/2017/05/02/world/asia/navy-south -china-sea. html?_r=0.)
 그러나 이러한 미국의 대중 강경노선은 곧 변화하기 시작한다. 트럼프 행정부는 무엇보다도 북한의 핵 및 미사일 문제 해결에 있어 중국의 협력을 구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중국을 가능한 적대시하지 않는 신중하고 유화적인 태도를 취하기 시작한 것이다. 대선기간 중 공약했던 남중국해 문제는 뒷전으로 밀리면서 미 정부에 의해 거의 언급되지 않는 상황이 되었고 ‘항행의 자유 작전(Freedom of Navigation Operations)’은 중단되었다. (금년 5월 2일 미 해군과 미 태평양사에서 건의한 3번의 항행의 자유 작전 실시가 중국 중시 정책으로 인해 미 국방성에 의해 거절되었다. 그 후 5월 27일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최초의 항행의 자유 작전이 남사군도 Mischeef 암초근해에서 실시되었다. Bill Gertz, Navy Warship Exercises Close to Chinese-Claimed Reef in S. China Sea, May 26, 2017. http://freebeacon.com/national- security/navy-warship-exercises-close-chinese-claimed-reef-s-china-sea/)
 또한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한 후 4개월이 지났지만 미 정부의 아·태 정책 및 전략은 아직은 불확실한 상태이며 미 국무성이나 국방성 내 아시아정책을 담당하는 고위관리들의 임명도 지연되고 있다.
이 같은 트럼프 행정부의 아시아 경시 태도 및 변덕스럽고 불확실한 대(對) 중국 정책 속에 아·태지역 내 동맹과 우방 사이에서 지역 해양안보 및 동맹국과의 방위공약을 준수할 미국의 의지와 능력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었다. 특히 남중국해 문제에 있어 중국에 반대하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결속의지도 약화되고 있다. 그 결과, 2017년 4월 필리핀 마닐라에서 개최된 ASEAN 정상회담에서 중국의 로비(lobby)로 ‘인공도서 건설 및 군사화(land reclamation and militarization)’에 관한 언급이 최종성명에서 빠지는 결과가 초래되었다.
한편, 중국해군에 대한 미 해군의 전통적인 우월감도 빠르게 퇴색하는 동시에 일종의 다소 비관적인 시각도 등장하고 있다. 미 해군은 현재 275척의 함정으로 全 세계 해역에서 동맹 또는 우방과의 방위공약을 준수하고 범(汎) 세계적 해양안보 작전 및 테러와의 전쟁을 수행하고 있다. 이들 전력 중 일부가 아·태 지역에 상시 배치되어 있거나 유사 시 긴급 투입되는 전력이다. 이는 턱없이 부족한 전력이다. 더구나 증원전력은 인도양이나 태평양 등 먼 거리를 이동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나 아·태지역의 분쟁해역에 투입될 수 있다. (미·중 간의 가상 분쟁상황에서의 전력비교에 대해서는 Eric Heginbotham 외 다수, The U.S.-China military scorecard : forces, geography, and the evolving balance of power, 1996-2017, RAND Corporation, 2015 참조.)
 물론 미 해군은 10척의 항공모함을 보유하고 있지만, 예산부족으로 인한 정비 및 수리 문제로 원활한 전력운용, 특히 항모 탑재 항공전력의 전비태세 유지에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공약한 대로 미 해군이 350척의 규모의 함대전력을 건설한다 해도 全세계 해역으로 분산 배치해야 한다. (Peter Apps, Is Beijing Outflanking the United States in the South China Sea?, Reuters, Commentary March 2, 2017.)
 
이에 비해 중국해군은 비록 현재 미 해군에 비해 총 전력 면에서 열세이지만 모든 전력을 중국의 근해(近海) 즉, 동·남중국해 주변 3개 함대에 집중 배치, 운용되고 있다. 또한 이들 전력은 유사(有事) 시 모(母)기지 가까이에서 반(反)접근 지역거부(A2/AD)라는 개념 하에 육상 배치 미사일, 전투기, 잠수함의 엄호와 중국 공군과 육군, 미사일 군의 지원 아래 소위 ‘내선(內線)’에서 작전하기 때문에 아·태지역 내 어느 주변국 해군이라도 압도할 수 있으며, 심지어 미 해군에 대해서도 국지적 우세를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미 해군의 심각한 위기감이 표출되기 시작한 것이다. (2016년 10월 리차드슨(John Richardson) 미 해군 참모총장은 지난 십여 년 동안 미국의 대중(對中) 전략을 대변해온 ‘反접근⋅지역거부(A2/AD)’라는 용어를 미 해군에서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겠다고 천명했다. 그는 이 용어로 인해 중국의 의도가 기정사실화(Fait accompli) 된 것처럼 잘못 해석되고 심지어 미 해군전력의 중국연안 접근이나 인접해역에의 진입이 위험한 것으로 여겨지는 등 숙명론적인 사고(Fatalistic thinking)를 유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Hope Hodge Seck, Here’s Why the Navy Won’t Talk about ‘A2/AD Anymore. https://www.Military.com/daily-news/2016/10/04/heres- why-the-navy-wont····)

여기에 추가하여 중국의 함정건조 능력도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발전하면서 미 해군은 더욱 초조해지고 있다. 중국은 2008년까지 겨우 1척의 탄도미사일 잠수함을 보유했으나 그 후 3척을 추가하였고, 지난 4월에 중국 자체에서 건조하는 항모 ‘산둥(山東)함’을 진수하는 등 매년 18척의 수상함정을 새로 취역시키고 있다. 2030년경에는 중국해군은 항모 4∼6척을 포함하여 약 500척의 함정을 갖게 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Ronald O’Rourke, China Naval Modernization: Implications for U.S. Navy Capabilities — 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report, May 12, 2017.)
 또한 중국은 전 세계에 있는 항구를 임차하여 해외기지를 건설하고 있는 등 해군전력의 모든 분야에서 나날이 성숙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나날이 발전하는 중국해군의 능력은 전시(戰時)에 서태평양에서 해양통제를 달성하고 유지하려는 미 해군에 대한 잠재적인 도전이 되고 있다. 이는 냉전종식 후 미 해군이 맞서는 첫 번째 도전이다. 중국해군의 능력이야말로 서태평양에서 군사적 초강대국 미국의 장기적인 위상에 대한 중국의 새롭고 보다 광범위한 군사도전의 핵심요소라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또한 중국의 군사현대화는 바다와 공중에서 미국의 핵심적 군사기술의 우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한 능력을 생산해 내고 있다고 지적한다. Paul McLeary, Pentagon: Chinese Military Modernization Enters “New Phase”, Foreign Policy The Cable, May 13, 2016. http://foreignpolicy.com/2016/05/13/pentagon-chinese-military-modernization-enters- new-phase/)

중국 해군과는 대조적으로 미국에서는 신속한 해군력 증강을 기대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大選)기간 중 미 해군의 전력을 현재 290척에서 350척 규모로 증강할 것임을 공약했지만 아직 정부 예산으로 이를 뒷받침하고 있지는 못하다. 또한 2016년 12월 Mabus 미 해군성장관도 2016 전력구조평가(FSA: Force Structure Assessment) 결과를 발표하며 355척 해군(항모 12척, 대형 수상전투함 104척, 소형 수상전투함 52척, 상륙함 38척, 공격잠수함 66척, 탄도미사일 잠수함 12척 등 포함)이 필요하다고 권고하였다. (14 Dec. 2016 Executive Summary of the Navy’s New Force Structure Assessment, https://news,usni.org/2016/12/16/document-summary-navys-new-force-structure-assessment)
 그러나 미 의회 예산국(Congressional Budget Office)은 현재의 미 국방예산 추세 속에서 이러한 355척은 아무리 빨라도 2035년이 되어야 달성가능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James Holmes, China Won’t Hand the U.S. Navy Victory Like Japan Did: America should celebrate the anniversary of the heroic victory at Midway, but realize the next Pacific war won't be so easy, Foreign Policy Argument, June 2, 2017. http://foreignpolicy.com/2017/06/02/china-wont- and-the-u-s-navy-victory-like-japan-did/)
 이처럼 미국이 아·태 지역안보에 적절한 관심을 기울이지 못하고 역내 배치된 미 전력도 중국의 군사력 증강 속도에 맞서지 못하자 미국에게 불리하게 진행되는 힘의 전이현상 앞에서 미국이 일종의 정치적 무기력 상태에 빠져들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가운데 기존의 미 해군의 우월감 및 낙관적인 자세에 대한 경계감이 표출하기 시작한다. 전(前) 미 태평양함대 정보부장 James Fanell은 미국 내에서 중국의 의도 및 중국해군 위협에 대한 존경심의 결여 현상을 지적하였다. 특히 그는 미 해군 내 일부에서 중국해군을 낮게 평가하려는 현상은 현 국가정책 방향과 일관되지 않고 미 해군 2016년 전력구조평가 355척 요구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미 해군의 전력개선의 필요성을 손상할 뿐이라고 주장하였다. 뿐만 아니라, 그는 이러한 우월감은 오히려 중국으로 하여금 동아시아 및 남중국해에서 뻔뻔스러운 도발과 적대행위를 계속하도록 유도한다고 경고하였다. 그는 미 해군의 상대적 우위나 자기만족과 같은 허장성세의 언급은 잘못된 안보감(a false sense of security)을 가져다 줄뿐이며 국가안보 이익에 파멸을 초래한다며 중국해군을 존경하는 것이 미 해군 성공의 핵심이라고 역설하였다. (James Fanell, R-E-S-P-E-C-T...the PLA Navy. https://www.usni.org/magazines/ proceedings/ 2017-05/r-e-s-p-e-c-t-pla-navy, Bill Gertz, Navy Intel Officer Warns of Future China Conflict : Calls for telling the truth about Beijing. http://freebeacon.com/national-security/navy-intel-officer-warns-of-future-china-conflict/February 2, 2015)
 
그 결과 미국의 쇠퇴(decline of the US) 및 세계적 리더십 역할의 수행 의지가 약화되고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이를 더 이상 방치할 경우, 역내 정치·전략적인 상황도 미국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조성되어 미국의 국익은 심각하게 손상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미국은 지역 내 동맹 및 우방들은 물론, 잠재적국에게 미국이 범세계적인 리더십을 계속 행사하고 특히, 지역안보 및 방위공약을 지속적으로 준수할 미국의 의지와 능력이 여전히 확고하다는 점을 再확신(reassurance)시켜야 하는 상황이 온 것이다. 한편 미 해군도 새로운 위기감 속에서 자구책으로서 해군전력의 신속한 증강을 정치권에 요구하고 또 이를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내부의 강력한 리더십과 의지의 표명이 당장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미래해군(The Future Navy)’ 백서가 나오게 된 것이다.


5. 맺는말

 

이제까지 살펴보았듯이 지난 20여 년간 미국에 불리하게 진전되고 있는 전략상황 하에서 미 해군이 할 수 있는 역할이 별로 없다는 무력감, 중국해군의 급속한 신장으로 인해 미 해군의 전통적 우세를 상실할 가능성에 대한 위기감, 그리고 미국 내에서 해군력 증강을 위한 정치적 무기력이 백서의 출현 배경이라 할 수 있다. 새로운 백서는 미 해군 내·외에 전략상황 진전에 대한 위기의식과 절박감, 그리고 신속한 해군 전력증강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더 큰 함대, 더 빠른 혁신’을 통해 기존 미 해군의 주도적인 위상과 이점을 유지하기 위해 당장 행동하겠다는 미 해군의 의지표명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미 해군은 355척이라는 목표전력 수준을 조기에 달성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그러나 미 해군의 신속한 전력증강 노력이 성공을 거둘 지는 아직 더 두고 보아야 한다. 무엇보다도 아직까지 해군력 증강을 위한 정부예산이 뒷받침되지 않고 있다. 트럼프 정부의 2018년 정부예산안에도 355척의 해군전력을 위한 예산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 또한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가 종전의 재균형 또는 아·태중시 정책(Pivot to the Pacific)에서 탈피하여 어떠한 아·태지역 전략을 입안하고 추진해 나갈 지도 변수이다. 게다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동에서의 IS(Islamic State) 대응을 위한 노력 등 타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안보소요를 고려 시 미국정부가 과연 아·태 지역에서 중국으로부터의 도전에 대응하는 데 필요한 모든 노력을 기울일 수 있을 지는 여전히 미지수이다. 
다만 백서를 통해 한 가지 확실한 점은 미 해군이 남중국해에서의 상황이 더 이상 미국이 방관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므로 이제부터 말보다 행동으로 중국의 도전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점이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남중국해에서 계속되는 중국의 일방적이고 공격적인 행동을 감안할 때 미국은 더 이상 중국에 대한 위험분산(hedging)보다는 냉전시대와 비슷한 형태로 중국의 급부상을 적극적으로 봉쇄(containment)하는 장기 전략이 필요하다는 주장까지 대두하고 있다. Robert D. Blackwill, America Needs an “Engage and Contain” Strategy for China, The National Interest, https://Nationalinterest. org/print/feature/america-needs-engage-contain-strategy-china (검색일 2017. 3. 17.))
 앞으로 미 해군이 어떠한 전략과 접근방식으로 355척의 함정으로 구성된 강력한 균형함대(a balanced fleet)를 건설해 나갈지가 주목된다. (끝)


< 참고자료 >

 

Peter Apps, Is Beijing Outflanking the United States in the South China Sea?, Reuters, Commentary March 2, 2017.

Robert D. Blackwill, America Needs an “Engage and Contain” Strategy for China, The National Interest, 2017. 3. 17. https://Nationalinterest.org/print/feature/america-needs-engage-contain-strategy-china

Chief Of Naval Operations’ White Paper, ‘The Future Navy,’ Adm. John Richardson. May 17, 2017.https://news.usni.org/2017/05/17/document-chief-of-naval-operations-white-paper- the-future-navy

Helene Cooper, Trump’s Turn Toward China Curtails Navy Patrols in Disputed Zones, New York Times, May, 2, 2017, https://www.nytimes.com/2017/05/02/world/asia/navy-south-china-sea. html?_r=0.

James Fanell, R-E-S-P-E-C-T...the PLA Navy. https://www.usni.org/magazines/ proceedings/ 2017-05/r-e-s-p-e-c-t-pla-navy

Bill Gertz, Navy Warship Exercises Close to Chinese-Claimed Reef in S. China Sea, May 26, 2017. http://freebeacon.com/national-security/navy-warship-exercises-close-chinese- claimed-reef-s-china-sea/

Bill Gertz, Navy Intel Officer Warns of Future China Conflict : Calls for telling the truth about Beijing. http://freebeacon.com/national-security/ navy-intel-officer-warns-of-future-china-conflict/February 2, 2015

John Grady, Brookings Panel: Chinese Military Expansion Continues to Strain Relations with U.S, April 27, 2017. https://news.usni.org/2017/04/27/brookings-panel-chinese-military-expansion

Eric Heginbotham 외 다수, The U.S.-China military scorecard : forces, geography, and the evolving balance of power, 1996-2017, RAND Corporation, 2015.

James Holmes, China Won’t Hand the U.S. Navy Victory Like Japan Did: America should celebrate the anniversary of the heroic victory at Midway, but realize the next Pacific war won't be so easy, Foreign Policy Argument, June 2, 2017. http://foreignpolicy.com/2017/06/02/china-wont- and-the-u-s-navy-victory-like-japan-did/

Wayne R. Hugar, Surprise! What caused China’s Recent and Massive Land Reclamation in the South China Sea?, Journal of Strategic Intelligence, Summer 2016, p. 26.

Dan De Luce, Keith Johnson, Report, In the South China Sea : the U.S. is Struggling to Halt Beijing’s Advance, Foreign Policy Report, May 25, 2017,http://foreignpolicy.com/ 2017/05/25/in-the-south-china-sea-the-u-s-is-struggling-to-halt-beijings-advance

Paul McLeary, Pentagon: Chinese Military Modernization Enters “New Phase”, Foreign Policy The Cable, May 13, 2016. http://foreignpolicy.com/2016/05/13/pentagon-chinese-military- modernization-enters- new-phase/

Ronald O'Rourke, China Naval Modernization: Implications for U.S. Navy Capabilities—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Report, June 6, 2017, p. 3.

Hope Hodge Seck, Here’s Why the Navy Won’t Talk about ‘A2/AD Anymore. https:// www.Military.com/daily-news/2016/10/04/heres-why-the-navy-won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60건 3 페이지
제24호(06월) Written by 정삼만(한국해양전략연구소 연구실장) | 04-09 | 737 자위권(自衛權)의 종류와 한국의 실행 가능성 인기글첨부파일
자위권(自衛權)의 종류와 한국의 실행 가능성 정삼만(한국해양전략연구소 연구실장) 최근 북한의 핵위협이 점점 심각해지면서 미국을 중심으로 대북 선제타격이 가능하다는 언론의 보도가 이어지다 현재는 한·미 양국 모두 선제타격의 필요성보다는 위험성을 더 우려하면서 비교적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 중이다. 본래 선제타격(preemptive strike)이란…
제24호(06월) Written by 정호섭(前 해군참모총장, 現 충남대 군사학부 석좌교수) | 04-09 | 723 더 큰 함대, 더 빠른 혁신을 요구하는 미 해군 인기글첨부파일
더 큰 함대, 더 빠른 혁신을 요구하는 미 해군 정호섭 (前 해군참모총장, 현 충남대 군사학부 석좌교수) 1. 들어가면서 최근 2017년 5월 17일 리차드슨(John M. Richardson) 미 해군참모총장은 ‘미래해군(The Future Navy)’이라는 제목의 백서를 발표하였다. 백서에서 그는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세계전…
제24호(06월) Written by 박휘락(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장) | 04-09 | 724 사드(THAAD) 배치를 둘러싼 한미동맹과 한중관계의 이해 인기글첨부파일
사드(THAAD) 배치를 둘러싼 한미동맹과 한중관계의 이해 박휘락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장) 1. 들어가며 2014년에 시작되어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미국 고고도 종말지역방어체계(사드, THAAD: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의 한국 배치를 둘러싼 논란은 한미동맹과 한중관계에 대한 한국의 …
제24호(06월) Written by 이희완(합동군사대학교) | 04-09 | 896 북방한계선(NLL)과 한반도 군사안보 인기글첨부파일
북방한계선(NLL)과 한반도 군사안보 이희완(합동군사대학교) Ⅰ. 서 론 서해 북방한계선(이하 NLL)은 현재 남북관계의 최대안보현안이며 군사적 논리가 작용되고 있는 핵심 안보사안이다. 최근 제1, 2연평해전, 대청해전, 천안함 피격사건 등 군사적 무력충돌이 발생했던 곳도 바로 서해 NLL(Northern Limit Li…
제24호(06월) Written by 양금희(이어도연구회 연구위원) | 04-09 | 726 쿠릴해양영토갈등과 러시아의 유연협상전략 인기글첨부파일
쿠릴해양영토갈등과 러시아의 유연협상전략 양금희(이어도연구회 연구위원) 1. 서론 일본은 주변에 있는 모든 국가들과 해양영토분쟁을 벌이고 있다. 가장 대표적이고 강도가 높은 분쟁은 일본과 중국 간의 센카쿠제도(일본명)/댜오위다오(중국명)에 대한 영유권분쟁으로 최근 들어 더욱 악화되고 있다. 일본과 중국은 국교 정상화 과정에서 “같은…
제23호(05월) Written by 안광수 (한국국방연구원 전략기획연구실장) | 04-09 | 737 트럼프 행정부와 시진핑 정권의 갈등과 한국의 해양안보 인기글첨부파일
트럼프 행정부와 시진핑 정권의 갈등과 한국의 해양안보 안광수(한국국방연구원 전략기획연구실장) ❍ 들어가는 말 ❍ 트럼프 행정부와 시진핑 정권의 갈등 ❍ 한국 해양안보에 대한 영향 ❍ 함의와 정책방향 Ⅰ. 들어가는 말 ​ 동아시아의 해양은 늘 강대국들의 각축 대상이었다. 중국은 그 동안의 경…
제23호(05월) Written by 김강녕(조화정치연구원장, 해군발전자문위원) | 04-09 | 726 동북아 국가들의 잠수함 경쟁과 한국의 대비 인기글첨부파일
동북아 국가들의 잠수함 경쟁과 한국의 대비 김강녕(조화정치연구원장, 해군발전자문위원) Ⅰ. 서론 아시아·태평양에서 잠수함 전력증강 경쟁이 가열되고 있다. 한국과 일본은 물론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호주와 인도에 이르기까지 아시아 각국은 최신 스텔스 디젤 잠수함 확보경쟁에 열을 올리고 있다. 중국의 전력증강과 북한의 잠수함발…
제23호(05월) Written by 최양선(사단법인 동해연구회 이사) | 04-09 | 722 동해, 그 귀중한 이름을 찾기 위한 우리의 여정 인기글첨부파일
동해, 그 귀중한 이름을 찾기 위한 우리의 여정 최양선(사단법인 동해연구회 이사) 1. 서 론 한국인들은 20세기 초에 일본의 침략을 받아 주권을 빼앗기고 식민지로서 36년간 노예 같은 생활을 한 적이 있다. 한국은 언어와 문화 그리고 심지어 개인의 이름도 빼앗겼다. 그 시절에 빼앗기지 않은 것이 없었고 철저히 착취 당하였다…
제23호(05월) Written by 이민효 (해군사관학교 국제법 교수) | 04-09 | 707 해양법상 도서의 법적 지위에 관한 소고 : 필리핀과 중국간 중재재판과 독도의 지위 인기글첨부파일
해양법상 도서의 법적 지위에 관한 소고 : 필리핀과 중국간 중재재판과 독도의 지위 이민효(해군사관학교 국제법 교수) 1. 서론 오랫동안 관습법의 형식으로 존재해오던 해양법은 19세기 말부터 국제사회의 변화와 과학의 발전에 따라서 여타 국제법 분야와 마찬가지로 점차 성문화가 요구되었지만, 당시에는 별다른 진전이 없었으…
제23호(05월) Written by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 정치학 전공) | 04-09 | 748 유엔해양법조약과 독도문제 인기글첨부파일
유엔해양법조약과 독도문제 호사카유지(세종대 교수, 정치학전공) 1. 유엔해양법조약과 200해리문제 1965년 6월 22일 한일기본조약과 한일협정이 체결되었고 이때 ‘교환공문’ 형식으로 한국과 일본은 양국 간의 분쟁을 외교상의 경로 혹은 조정을 통해 해결할 것을 결정했다. 이후 한국 측은 독도문제가 분쟁이 아니라고 주장해 왔고 일본 측은…
제22호(04월) Written by 이춘근(한국해양전략연구소 선임연구원) | 04-09 | 739 북 핵에 대한 미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전망 인기글첨부파일
북 핵에 대한 미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전망 이춘근(한국해양전략연구소 선임연구원) 1. 서론: 문제의 본질 국제정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 중에 치킨 게임(Chicken Game)이라는 것이 있다. 오래 전 미국 서부에서 깡패집단들이 누가 전체에 대한 패권을 장악할 것인가를 두고 내기를 벌인데서 유래한 이론이다. 두 깡패 두목들은 …
제22호(04월) Written by 윤석준(법무법인 충민, 중국/아시아 담당 고문 | 04-09 | 742 트럼프 대통령과 동아시아 해양안보 인기글첨부파일
트럼프 대통령과 동아시아 해양안보 윤석준(법무법인 충민, 중국·아시아 담당 고문) 현재까지 미국에 이어 '지역 강대국으로 부상하는 중국이 강대국으로서의 책임있는 역할을 증진하기 보다 유독 지엽적 안보영역인 해양에 크게 집착하고 있는 반면, 미국은 ‘위대한 미국’ 재건을 선거 공약으로 취임한 트럼프 대통령에 의거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
제22호(04월) Written by 김태호(한림국제대학원 대학교 교수) | 04-09 | 730 중국 해군의 굴기, 어떻게 봐야 하나? 인기글첨부파일
중국 해군의 굴기, 어떻게 봐야 하나? 김 태 호 [한림국제대학원 대학교 교수] 4월 중 타이베이와 상하이를 다녀왔다. 양 도시에서 베테랑 중국군(PLA) 전문가들을 만났는데, 타이베이에서 만난 분은 국방차관을 4년 지내고 국방장관도 지낸 분이다. 상하이에서 만난 분은 베이징에 있는 국방대학에서 오랜 기간 교수로 지내다 상하이의 퉁지(同濟)대학 대학원…
제22호(04월) Written by 최기출(한국해양안보포럼 상임대표 | 04-09 | 752 아마추어 대통령과 프로 대통령 인기글첨부파일
아마추어 대통령과 프로 대통령 최기출(한국해양안보포럼 상임대표) 1. 서언 노무현 대통령은 재임시절 “대통령직 못해먹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미국의 트루만 대통령은 “호랑이를 탄 것 같아 계속 달리지 않으면 잡아먹힌다.”고 했다. 이처럼 대통령직은 직무수행환경이 어렵고 위험하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
제22호(04월) Written by 제장명(해군사관학교 해양연구소 충무공연구부) | 04-09 | 735 임진왜란 시기 이순신의 소통 노력과 인맥의 활약 인기글첨부파일
임진왜란 시기 이순신의 소통 노력과 인맥의 활약 제장명(해군사관학교 해양연구소 충무공연구부) Ⅰ. 서 론 지난 2014년 7월에 방영을 시작하여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영화 ‘명량’을 보면 해전을 지휘하는 이순신이 혼자서 지휘하고 활도 쏘고 칼로 백병전을 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이것은 대단히 잘못된 장면이다. 이순신은 삼도수군…
게시물 검색

HOME  |   BOOKMARK  |   BACK  |   CONTACT US  |   ADMIN
TOP
주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99(국방연구소) / 전화번호 : 042-821-6082 / 팩스번호 : 042-821-8868 / 이메일 : lcljh2009@cnu.ac.kr
Copyright © 항공우주전략포럼. All rights reserved.[본 사이트는 개인정보 수집을 하지 않습니다.]